2020. 9. 1. 15:08ㆍ카테고리 없음
주식 시장은 참 흥미진진한 곳입니다.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기는 하지만, 잘만 되면 큰돈을 만질 수 있는 곳이라서 한 번 발을 들이면 쉽게 빠져나올 수 없는 곳이기도 하고요. 그런데, 주식 거래를 하면서 얼마만큼의 세금을 내는지, 또 얼마만큼의 수수료를 내는지도 모르고 하시는 분들이 꽤 많으십니다. 단타를 전문적으로 하시는 분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대략적인 금액만 아시고 자세히는 모르시더라고요. 제가 오늘 그 부분을 간략하게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주식 거래세와 매매 수수료 얼마나 내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시죠!
1. 증권 거래세
유가증권인 증권을 매도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최근 우리 정부는 자본 시장 활성화를 위해 23년 만에 증권거래세 인하를 단행하였습니다. 투자자의 세부담을 완화하고 투자 심리를 호전시킬 목적으로 지난 5월 상장주식 거래에 대해 증권거래세율을 인하하였으며 현재 증권거래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피 증권거래 시 발생하는 농어촌특별세 0.15%는 현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증권 거래세는 주식을 팔 때만 지불합니다.
2. 매매 수수료
주식 매매수수료는 증권사 별로 조금 다릅니다. 그리고 같은 증권사라 해도 전화를 이용해 매매하는지 아니면 매매 프로그램을 이용해 매매하는지에 따라 수수료가 달라집니다. 증권 거래세와는 달리 매매 수수료는 주식을 살 때, 주식을 팔 때 모두 지불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키움증권의 거래 수수료를 간략히 정리해 봤습니다. HTS나 MTS로 거래 시에는 거래 금액의 0.015%만을 지불하지만, ARS로 거래 시에는 10배나 높은 0.15%를 지불하게 됩니다.
※ HTS (Home Trading System) : 집에서 주식 거래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용 증권 거래 시스템
※ MTS (Mobile Trading System) : 어디에서나 주식 거래를 할 수 있게 해주는 모바일용 증권 거래 시스템
3. 주식 매매 비용 예시
코스피에서 MTS를 이용해서 1,000만원에 주식을 사서 1,100만 원에 주식을 판다고 가정할 때 지불하게 되는 거래세 및 수수료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주식 살 때 : 수수료 0.015% (1,500원)
주식 팔 때 : 수수료 0.015% (1,650원) + 거래세 0.25% (27,500원)
총 30,650원의 거래세 및 수수료를 지불하기 때문에 단타 매매 기법을 이용하실 분은 해당 금액을 염두에 두고 매매를 하시면 됩니다.